DOI QR코드

DOI QR Code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쿄 임해지역 집합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that Improve Waterfront Satisfaction: Targeting Residents of Apartment Houses in the Tokyo's Coastal Area

  • 김주홍 (동아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과) ;
  • 오세경 (동아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과)
  • 투고 : 2024.01.29
  • 심사 : 2024.03.14
  • 발행 : 2024.03.31

초록

본 연구는 도쿄 임해지역에 있어서 거주자의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세대별로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도쿄 임해지역의 집합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수변 이용에 수반하는 수변 만족도의 향상과 수변 인식에 수반하는 수변 만족도의 향상에 대한 관계성의 세대차를 분석했다. 연구의 데이터 구축을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서 수변의 이용 및 인식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는 수변의 이용에 관해서는 수변까지의 거리・수변에 체재하는 시간・수변을 방문하는 횟수를 선정했다. 또, 수변의 인식에 관해서는, 공간・행위・관리 상태를 선정했다. 이상을 토대로 세대별 수변의 이용 및 인식과 수변 만족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은 세대별로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쿄 임해지역에 있어서의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거주 환경의 정비로서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청년 세대와 노년 세대의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방문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변으로의 연결로 개통에 수반하는 보행하기 쉬운 액세스 정비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중년 세대와 노년 세대는 거주지 인접에 수변을 배치하는 등 이동거리를 단축하는 개선을 통해 시간 거리를 줄여 수변 이용을 촉진하는 정비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모든 세대에 있어서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휴식성・위생성・정비성이 고려된 수변을 조성하여 위생적으로 정비된 수변 휴식 공간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waterfront satisfaction among different generations, utilizing a survey on the use and perception of waterfront areas by residents of apartment houses in Tokyo's coastal region.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focusing on factors related to waterfront usage. Specifically, we select the proximity to the waterfront, duration of stay at the waterfront, and frequency of visits to the waterfront as key variables for investigation. In addition, the study further incorporates aspects related to waterfront recognition, such as the space, user behavior,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waterfront. Utilizing these variables, we carry out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rational use and perception of the waterfron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water-related experiences. The results identify three key factors to enhance waterfront satisfaction: First, to increase visits from both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mproving pedestrian access to the waterfront is essential. Second, for middle-aged and older generations, creating waterfront areas closer to their residences can reduce travel distance and time, encouraging more frequent use. Third, maintaining clean and well-kept waterfront spaces is fundamental for all generations to enjoy relaxing experiences, thereby improving overall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한두(2012),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주택규모별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2): 71~80. https://doi.org/10.5659/JAIK_PD.2012.28.2.71
  2. 권영상.조민선(2010),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세종: 건축공간연구원
  3. 권정표.강정규(2022), "청년 1인 가구의 임차인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토지주택연구」, 13(2): 65~79.
  4. 김영주.유병선(2012), "주거환경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 도시 거주자의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6): 219~226.
  5. 김용욱.김새힘.황준원.조미정(2023),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주거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른 연령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토지주택연구」, 14(2): 19~34.
  6. 김주홍(2018), "도시 임해지역 공동주택의 수변공간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세대에 따른 차이에 착목하여",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16(1): 51~64.
  7. 김혜진.이경훈(2012), "서울시 하천수변보행공간 이용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성내천, 양재천, 청계천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11): 143~150. https://doi.org/10.5659/JAIK_PD.2012.28.11.143
  8. 서은영.이철수.원제무(2012), "계획요소를 통한 대도시 수변공간 도시재생프로젝트의 비교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7(6): 109~122.
  9. 임병호.이춘호.지남석(2016), "도심하천 수변공간의 이용만족도 및 만족요인 연구: 대전시 3대 하천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50(2): 175~183.
  10. 장철규.닝닝.이슬기.정성관(2016), "ISA 분석을 활용한 신천 수변공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4(1): 1~15. https://doi.org/10.9715/KILA.2016.44.1.001
  11. 하혜경.서자유(2021), "수변경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자연형 하천 이용형태 및 만족도", 「한국경관학회지」, 13(1): 29~44. https://doi.org/10.36466/KLC.13.1.3
  12. 황윤희.정재호(2023),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 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토지주택연구」, 14(1): 47~66.
  13. Fujiwara, N. (1999), Creating Waterfronts in CitiesWaterfront Planning as an Environmental Resource, Tokyo: Technical Shoin.
  14. Hagihara, K., Y. Hagihara and S. Shimizu (2001), "Environmental Valuation at Urban Waterside Area", Environmental Science, 14(6): 555~566.
  15. Kuroyanagi, A. and H. Watanabe (1999), Urban Waterfront and Human Action-Sinsui Behavior Based on Urban Ecological Perspective, Tokyo: Kyoritsu Press.
  16. Murakawa, S., D. Nishina and A. Iio (1988), "Analyses of Inhabitants' Uses and Evaluations Based on a Way from Dwelling for Recreational Green Water Places in Urban Areas",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389: 53~61. https://doi.org/10.3130/aijax.389.0_53
  17. Nagakubo, T., H. Watanabe, A. Kuroyanagi and T. Kondo (1991), Architecture and Urban Water Environmental Planning, Tokyo: Shokoku Publishing.
  18. Nagakubo, T., H. Watanabe, A. Kuroyanagi and T. Kondo (1994), "A Study of the Value Urban Waterfront Area as One of the Open Space with Reference to the Perception of Residents-A Study on the Value of Urban Waterfront Area Part 1",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464: 215~223. https://doi.org/10.3130/aija.59.215_3
  19. Oka, T. and M. Sugawara (1994), New Developments in Urban Water Environment, Tokyo: Gihodo Publishing.
  20. Ono, K. (2004), Regeneration of Urban Waterfront Space, Tokyo: Minerva Shobo.
  21. Shigeki, M. and S. Yukihiro (1987), Charm and Creation of Waterfront Space, Tokyo: Kashima Publishing.
  22. Tajima, Y., H. Watanabe and A. Kuroyanagi (1997), "A Study on Effect of Urban Waterfront Area High Density Living Environment-Effect of Waterfront Area by Life Style of Residents",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494: 277~284. https://doi.org/10.3130/aija.62.277
  23. Takahashi Laboratory (1984), Data File of Form, Tokyo: Syoukoku Publishing.
  24. Wada, Y. and H. Miura (2005), The Waterside Changes the City-The Pond Park Enriches the Urban Space, Tokyo: Gihodo Publishing.
  25. Watanabe, H., A. Kuroyanagi and T. Nagakubo (1995), "A Study on the Relation of Resident's Evaluation on Waterfront Area and Living Environment-A Study on the Value of Urban Waterfront Area Part 2",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468: 199~206. https://doi.org/10.3130/aija.60.199_2
  26. Watanabe, H. and A. Kuroyanagi (1995), "A Study on the Use of Neighborhood Open Space and Waterfront Area by Urban Residents-A Study on the Value of Urban Waterfront Area Part 3",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471: 203~212. https://doi.org/10.3130/aija.60.203_1
  27. Wikipedia, "Cronbach's Alpha", Accessed June 21, 2022. https://en.wikipedia.org/wiki/Cronbach's_alpha.
  28. Yokobori, S., T. Miyazaki and K. Nakazawa (2007), "A Study Regarding of the Shape Analysis Including of Land Use Conversion of the Coastal Area",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Transactions of AIJ), 621: 93~100. https://doi.org/10.3130/aija.72.93_4
  29. Yokouchi, N. and Waterfront Planning Study Group (1994), Planning Notes for Waterfront Development, Tokyo: Kyoritsu Publishing.
  30.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 "수변공간", 2022.11.10 읽음. https://www.auric.or.kr/User/Dict/DocDictaspx?BrsDataBaseName=DICT&PrimaryKey=26109.
  31. ArcGIS, "Kernel Density", Accessed November 24, 2022. https://pro.arcgis.com/ja/pro-app/tool-reference/spatial-analyst/how-kernel-density-works.htm.
  32. IBM Documentation, "Correlation Analysis", Accessed July 4, 2022. https://www.ibm.com/support/knowledgecenter/ja/SS3RA7_17.0.0/clementine/statistic_correlationlabels.html.
  3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White Paper on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in Japan, 2002", Accessed January 23, 2022, http://www.milt.go.jp/hakausyo/mlit/h14/H14/html/E10332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