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Rice Paddy for Value Assessment of the Rice Paddy Wetland

논습지 가치평가를 위한 유기재배 논의 식생특성 분석

  • 박광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공민재 (단국대학교 농촌진흥청 학연협동) ;
  •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손진관 (단국대학교 농촌진흥청 학연협동)
  • Received : 2011.11.01
  • Accepted : 2012.02.20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importance of rice paddy wetland has been raised since the 10th Ramsar Convention in 2010. However, there is shortage of study on the evaluation of rice paddy wetland and also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c agriculture on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rice paddy for the basic resources of evaluating value of rice paddy wetland. 6 places of organic rice paddy and conventional rice paddy were chosen as research targets. It analyzed the function of 'Floral Diversity and Wildlife Habitat' among the revised RAM, an existing wetland evaluation system. As to the factor affecting the analysis result, simple land-use result was prov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As a result of vegetation investigation total 176 taxa, 53 families, 146 generics, 148 species, 26 varieties and 1 forma. When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of life form between organic area and conventional area was examined, organic paddy had higher appearance of life form in Therophyte and Megaphanerophyte. For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organic rice paddy had lower naturalized rate and urbanization index than conventional rice paddy. As t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ing condition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variety of rice paddy vegetation showed it was not heavily influenced by the land use. However, the organic rice paddy area had more variety in vegetation than conventional rice paddy. There was about 1% correlation with types of Cyperaceae, which means that the classification group of Cyperaceae can be utilized in evaluating rice paddy wetland later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wetland evaluation has been widely influenced by soil environment, water environment and surrounding natural and artificial landscape as well as vege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further research seems to be required with minute investigation to an extensive area.

2010년 제10차 람사르 총회를 시작으로 논습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논습지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체계가 부족하며, 유기농업이 식생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논의 식생특성을 알아봄과 동시에 논습지 가치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유기논과 관행논 총 6곳을 선정하였다. 기존의 습지평가 체계인 수정 RAM의 평가 중 '식생다양성 및 야생동물서식처'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단순한 토지이용의 결과만이 평가를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조사 결과 총 53과 146속 148종 26변종 1품종으로 총 176종류가 조사되었다. 유기논 지역과 관행논 지역의 생활형 출현비율 차이를 살펴보면 유기논이 일년생식물과 대형지상식물의 생활형 출현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귀화식물의 분포 또한 관행논 지역보다 유기논의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가 낮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연구대상지의 생육환경과 식생특성간의 Pearson 상관분석 결과 논습지 식생다양성의 경우 토지이용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유기논이 관행논에 비해 식생이 다양함을 보여주며, 사초과의 종류와는 1%이내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추후 논습지 평가 시 사초과의 종류수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습지평가는 식생특성 뿐만 아니라 토양환경, 수질환경, 주변의 자연경관, 인공경관 등 다양한 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이에 대한 정밀한 조사와 연구대상지 확대를 통해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방훈, 손진관, 이상화, 김남춘. 2009.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12(3) : 33-48.
  2. 권오도, 박흥규, 안규남, 이인, 신서호, 신길호, 신해룡, 국용인. 2010. 벼 친환경재배에서 다양한 유기자원별 잡초방제 효과. 한잡초지, 30(3) : 272-281.
  3.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 식물목록.
  4. 김종원, 남화경. 1998. 논경작지 식생의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Korean J., 21(3) : 203-215.
  5. 김철수, 손성곤, 이정환, 오경환. 2000.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한국생태학회지, 23(3) :201-209.
  6. 김희동, 박중수, 방관호, 조영철, 박경열, 권규칠, 노영덕. 1994. 벼논 오리 사육방법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 반응. 한국작물학회지, 39(4) : 339-347.
  7. 농림수산식품부. 2011. 친환경농업육성법.
  8. 농촌진흥청. 2008. 논 생태계 수서무척추동물도감(증보판).
  9.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10. 박수현.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 분포.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11. 송호경, 전기성, 이상화, 김남춘, 박관수, 이병준. 2005.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식생구조와 천이. 환경복원녹화, 8(6) : 69-79.
  12. 오현경, 임동욱, 김용식. 2009. 변산반도국립 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 105-115.
  13.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4.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 87-101.
  15. 이창복. 2006.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6.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식지, 23(3-4) : 69-83.
  17. 정순재, 박흥식, 오주성, 최봉출, 최성관. 1999. 왕우렁이의 섭식.생태 및 논잡초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7(2) : 169-177.
  18. 최갑림, 조영민, 심정기, 국용인, 신동영. 2008. 순천시 봉화산 주변의 귀화식물. 한국자원식물학회 추계학술발표, 94-94.
  19. 최봉수, 전원태, 이용환, 김민태, 엄순표, 오계정, 조현숙, 박태선, 성기영. 2011. 녹비작물 이용 유기벼 재배지의 논잡초 발생과 벼 수확. 한잡초지, 31(4) : 360-367.
  20. 최홍근. 1985. 한국수생관속식물지.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환경부. 1997. 환경농업육성법.
  22. 환경부. 2008. 제10차 람사르총회, 지구습지 보전의 진일보 일궈내, 경상남도. pp 1-25.
  23. 한윤호, 김동엽, 안원용. 2002. 일월저수지의 습지 환경과 식생발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2):9-16.
  24. 沼田 眞. 1996. 景相生態學, 朝倉書店.
  25. 宮脇昭. 1967. 水田の 雜草群落. In: 宮脇編. 日本の 植生. 學硏. 東京., 116-123.
  26. Jeon, W. T., B. S. Choi, Samy A. M. Abd El-Azeem and Y. S. Ok. 2011.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and mulching technology on reduction in herbicide and fertilizer use during rice cultivation in Korea. Afr. J. Biotech, 10 : 1-8.
  27. Kariyama S. and H.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m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ts., 3 : 31-40 (in japanese).
  28. Lee, Y.H. 2010. Rice growth and grain quality in no-till and organic farming paddy f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rice cultivars. Korean J. Soil Sci. Fert., 43 : 209-216.
  29. Mader, P., A. Fliebach, D. Dubois, L. Gunst, and U. Niggli. 2002. Soil fertility and biodiversity in organic farming. Science 296 : 1694-1697. https://doi.org/10.1126/science.1071148
  30. Miyawaki, A. 1960. Pflanzensoziologische Untersuch-ungen uber Reisfeld- Vegetation auf den japanis-chen Inseln mit vergleichender Betrachtung Mit-teleuropas. Vegetatio, 2 : 345-402.
  31. Ramsar. 2008. 10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Wetlands : Draft Resolution X.31.
  32. Raunkiær, C. 1934. The life forms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larendon Press. Oxford.
  33. Wolfgang B., A. Harenberg, J. Zimmerman, B. Wei. 2003. Biodiversity, the ultimate agriconventional indicator Potential and limits for the application of faunistic elements as gradual indicators in agroecosystem. Agriculture Ecosystem & Enviroment., 99-123.
  34. Wright, S.F., J.L. Starr, and I.C. Paltineanu. 1999. Changes in aggregate stability and concentration of glomalin during tillage management transition. Soil Sci. Soc. Am. J., 63 : 1825-1829. https://doi.org/10.2136/sssaj1999.636182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