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scular Plants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in Gimhae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의 관속식물상

  • Yun-do, Hwang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Sang-jun, Han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황윤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과) ;
  • 한상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과)
  • Received : 2024.01.20
  • Accepted : 2024.02.23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rized as 339 taxa including 81 familices, 221 genera, 315 species, 9 subspecies and 12 varieties and 2 forms.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Hydrocharis dubia and so on.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32 taxa including 17 taxa of grade I, 7 taxa of grade II, 4 taxa of grade III, 2 taxa of grade IV and 2 taxa of grade V.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6 Rumex crispus, Oenothera biennis, Veronica arvensi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11 taxa including Humulus scanden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and so on. The hydrophytes were 29 taxa including 16 taxa of emergent plants, 3 taxa of submerged plants, 4 taxon of free-floating plant 6 taxa of floation-leaved plants.

본 연구는 김해 화포천습지 보호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을 조사하여 습지생태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속식물상은 81과 221속 315종 9아중 12변종 2품종 등 339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자라풀 등 7분류군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32분류군이고, 침입외래식물은 66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종은 11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은 29분류군이며, 정수식물은 16분류군, 침수식물은 3분류군, 부유식물은 4분류군, 부엽식물은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Keywords

1. 서론

물기가 풍부한 지역, 즉 습지는 일반적으로 “물기가 축축한 땅”을 의미하며, 이러한 지역은 물의 존재와 함께 동식물의 생태계를 조절하는 환경을 형성한다. 습지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지구 상에서 영양물이 풍부하고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 인식되어 있다. 습지 지역은 주로 물에 의해 형성되며, 강, 호수, 강가, 늪, 웅덩이, 먼지, 연못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습지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다양한 생물 종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Amezaga et al., 2002).

이러한 습지 생태계는 생물 다양성을 풍부하게 지원하고, 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물질 순환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뿐만 아니라, 환경 보전 및 다양한 생태학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이 번식하고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구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ang, 2016). 이러한 이유로 습지 지역은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자연 환경으로 간주되어 있으며, Ramsar 협약(습지에 관한 협약)과 같은 국제 협약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호지역은 생태계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와 함께 자연을 정기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법적 또는 다른 효과적인 수단을 통해 승인되고, 특정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관리되는 명확하게 정의된 지리적 공간으로 정의되며(Lee, et., 2022), 이러한 지정 및 보호 활동은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이용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볼 수 있으며, 국제적인 생물다양성 보호노력과도 조화를 이루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후위기로 인해 지구의 환경변화가 심각해지면서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미시기후를 조절하는 (Cylinder et al., 1995)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습지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Park, 2022).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속에서 택지 개발, 도로 건설, 농지 사용으로 인한 토지이용의 변화는 습지 생태계를 훼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화포천습지보호지역은 국내 최대형 하천형배후습지로 배후습지와 수위변동구간의 생태적 추이대라 할 수 있으며, 습지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Park, 2022).

이 같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임에도 보호지역으로 지정되기 전까지 화포천습지에 대한 조사는 화포천습지(You, et., 2017)연구에서 식물상의 조사가 진행되었고, 이후 국립습지센터에서 정밀조사를 수행하였으나, 식물상의 정확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화포천습지보호지역은 화포천생태공원으로 지정되어 높은 인위적인 간섭, 하천의 범람과 홍수는 습지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화포천습지보호지역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보전,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가습지보호지역인 화포천습지 일원을 대상으로, 해당지역의 식물 분포와 종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종조성 변화 및 미래에 예상되는 기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지 내·외 보전대책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균형을 맞춘 습지보호지역의 관리대책을 수립하여 습지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지

김해 화포천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대암산에서 발원해 진영읍과 한림면을 거쳐 낙동강과 만나며, 길이 22.25㎢, 유역면적 138.38㎢, 13개의 지천으로 이루어진 지방 2급 하천이다(Fig.1). 화포천은 중류부터 낙동강과 만나는 길이 8.5㎢, 전체습지면적 3.1㎢에 이르며, 이중 길이 3.5㎢, 면적 159만 1,200㎢는 화포천습지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Gimhae-si, 2022).

HKSJBV_2024_v26n1_92_f0001.png 이미지

Fig. 1. Map of location for surveyed site in Hwapocheon Wetland.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하천형 습지로, 낙동강 지류의 하나인 화포천은 경사가 완만한 저지대로 형성되어있으며, 특히 유역의 중하류에 있는 저지대가 발달하여 낙동강의 배후습지가 대규모로 형성된 곳이다. 이렇게 화포천 유역에 형성된 화포천습지는 높은 생물다양성 등 생태계로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대하천의 배후습지로서 홍수 저류기능을 갖는 범람원 역할을 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Han, 2006).

화포천습지는 전형적인 배후습지로, 습지 고유의 경관과 생물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2017년 11월 23일, 환경부는 습지보전법 제8조에 근거하여 화포천습지 1,244,445㎡를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이후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의 훼손 방지 및 효율적인 보전관리를 위해 54,352㎡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추가 지정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2).

2017년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수립 연구에서 확인된 식물상은 72과 192속 262종 1아종 26변종 3품종 등 292분류군이었다(You et al., 2017).

2.2 조사 일정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1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66회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월 2회 이상의 조사빈도를 원칙으로 진행하였다(Table 1). 주요 조사 경로는 주로 습지 구역내에 조성된 탐방로 주변, 초지, 습지내부, 웅덩이 등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Fig 2).

Table 1. Investigation dates of surveyed area.

HKSJBV_2024_v26n1_92_t0001.png 이미지

HKSJBV_2024_v26n1_92_f0002.png 이미지

Fig. 2. The survey routes of Hwapocheon Wetland.

조사 범위는 주로 조사 경로 주변의 약 5m 내외를 중심으로 진행했으며, 어려운 접근지역에 대해서는 쌍안경(RAINFOREST PRO, MEADE, USA)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식물은 현장에서 최대한 직접 동정하였으며, 동정이 어려운 경우는 디지털카메라(P1000, Nikon, Japan)를 사용하여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후에 재동정 작업을 수행하였다. 불필요한 채집을 피하였고,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식물 목록을 작성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Lee (1996) 및 Lee (2006Ⅰ; 2006 Ⅱ)의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식물명의 학명 및 국명 등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을 참고하였고, 일부 누락된 식물명은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0)을 참조하였다.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준하여 정리하였고, 속(genus)이하의 계급은 알파벳 순서대로 기록하였다(Appendix 1).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 Newly recorded plant in this study, *:Planted or cultivated plan 

HKSJBV_2024_v26n1_92_t0009.png 이미지

작성된 관속식물목록을 토대로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한반도특산식물은 Chung et al., (1997),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2020), 칩입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은 Korean National Arboretum (2022), 습지식물은 Choung et al., (2021)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조사지역의 총 출현식물 종수에 대한 조사지역 귀화식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귀화율(NI= 귀화종수/ 출현종수×100)(Numata and Kotaki, 1975)로 정의되며, 또한,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는 남한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중 총 종수(375 분류군)대비 조사 지역내 귀화식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선정되었다(Yim and Jeon, 1980).

3. 결과 및 고찰

3.1 출현식물의 종류 조성

3.1.1 전체 관속식물상

본 조사지역 내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총 81과 221속 315종 9아종 12변종 2품종 등 으로, 총 339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2.) 양치식물은 3과 3속 3종 3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2속 3종으로 3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63과 168속 251종 9아종 9변종 2품종으로 272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단자엽식물은 13과 48속 58종 3변종으로 6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우리나라 전체 관속식물 4,724분류군의 약 7.2%에 해당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2).

Table 2. The list of the vascular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2.png 이미지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81과 중에서 출현종 수가 많은 과는 국화과 46분류군(13.6%), 벼과 28분류군(8.3%), 콩과 28분류군(8.3%), 마디풀과 19분류군(5.6%), 장미과 18분류군(5.3%) 등의 순이었다. 종수가 많은 상위 10과가 전체 분류군의 53.4%를 차지하였고, 나머지 과들이 46.6%(158 분류군)을 차지하였다.

조사지역에서 멸종위기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낙지다리 등 7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키버들과 능수버들의 2분류군,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자라풀, 낙지다리 등 32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은 미국까마중, 개망초 등 66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미국쑥부쟁이 등 10분류군, 습지식물은 사마귀풀, 달뿌리풀 등 70분류군을 확인하였다.

2017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기 전(You, et., 1997)에 확인한 분류군을 비교했을 때, 두 연구 모두에서 확인한 종은 자라풀, 낭아초를 포함한 251분류군이 었고, 이전 연구에서만 확인한 종은 속털개밀, 닭의덩굴 등 35분류군이었다. 이번 조사에서 새로 확인한 종은 누운주름잎, 큰꽃으아리, 수까치깨 등을 포함한 88분류군이었다. 이전 연구와의 이러한 차이는 습지 지역에서 조사공간, 조사일수 및 조사 빈도의 차이라고 판단된다.

3.1.2. 희귀식물

본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낙지다리, 꽃창포, 통발 등 7분류군이었다. 취약종(VU)인 통발은 습지 내에서 발견되었고, 약관심종(LC)인 낙지다리, 쥐방울덩굴, 자라풀은 탐방로 근처에서 소군락으로 발견되었다(Table 3).

Table 3. The list of rare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3.png 이미지

3.1.3 한반도 특산식물

한반도 특산식물은 키버들과 능수버들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들의 분포지역은 1997년 조사결과와 동일하였다.

3.1.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본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과 8속 20종 13변종 으로 총 32분류군으로 확인하였다(Table 4). 이것은 전체 우리나라 전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234분류군의 약 13.6%에 해당된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0).

Table 4. The list of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4.png 이미지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중 극히 일부지역에만 분포하여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는 Ⅳ등급 이상은 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V등급은 통발, 자라풀 2분류군, Ⅳ등급은 왕벚나무, 먼나무 2분류군이다. 그 외에 Ⅲ등급은 낭아초, 벌사상자 등 4분류군, Ⅱ등급은 낙지다리, 애기골무꽃 등 7분류군, Ⅰ등급은 왕버들, 큰꽃으아리, 쥐방울덩굴 등 17분류군으로 확인하였다(Table 4).

통발은 연못이나 논밭에서 자라는 다년생 식충식물로서 뿌리 없이 물 위에 뜨거나 잠겨서 살며(Lee ,2006 Ⅰ; 2006 Ⅱ), 습지보호지역내 수로 좌측 습지 내부에 분포한다. 자라풀은 연못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길게 옆으로 뻗으면서 땅에 닿는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는데(Lee ,2006 Ⅰ; 2006 Ⅱ). 화포천습지 중류 지점 수로 좌측 정수역에서 소군락으로 분포한다. 왕벚나무는 각지에서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15m에 달하고 수피가 평활하며 회갈색이고 어린가지에 잔털이 약간 있다(Lee ,2006 Ⅰ; 2006 Ⅱ). 화포천습지생태공원이 조성되면서 탐방로에 식재 분포한다. 먼 나무는 바닷가 상록수림의 덤불숲에 자라는 큰키 나무로서 높이가 5~10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짙은 갈색이다(Lee ,2006 Ⅰ; 2006 Ⅱ). 왕벚나무와 동일한 이유로 탐방로 인근에 식재 분포한다.

낙지다리는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0~70cm이고 땅속으로 기는 가지가 길게 뻗는다(Lee ,2006 Ⅰ; 2006 Ⅱ). 화포천습지 하류지점 습지경계부에서 소군락으로 분포한다. 지속적인 침수로 인한 퇴적물 촉진, 정기적인 예초 작업으로 인해 생육상태가 불량하다.

3.1.5 침입외래식물

본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침입외래식물은 6과 37속 64종 2아종 총 6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중 귀화식물(NP)은 65분류군, 임시정착식물(CAP)은 왕도깨비바늘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확산등급을 분석한 결과, 잠재적 확산인 1등급(PS)은 10분류군(15.2%), 경미한 확산인 2등급(MS)은 13분류군(19.7%), 우려되는 확산인 3등급(CS)은 7분류군(10.6%), 심각한 확산인 4등급(SS)은 12분류군(18.2%), 광범위한 확산인 5등급(WS)은 16분류군(24.2%)으로 나타났다(Table 5).

Table 5.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5.png 이미지

생육구간별 현황을 살펴보면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분류군수가 증가하였다(Fig 3). 침입외래식물이 상류보다 하류가 많은 것은 상류나 중류에서 유입된 종자가 하류에 정착하여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외래식물은 자생종보다 열악한 환경에서 번식력, 적응력이 높아 지역생물상의 단편화, 생물다양성의 질적 쇠퇴에 영향을 준다(Cho, et., 2020). 본 지역은 탐방로, 도로와 인접해 주변에서 외래식물의 침입 가능성이 높아서 습지환경 보전을 위해 주기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HKSJBV_2024_v26n1_92_f0003.png 이미지

Fig. 3. The distribution map of naturalized plants and ecosystem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귀화식물은 침입외래식물 중 자연생태계에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개체군을 형성하고, 10년이상 생육, 번식, 확산을 통해 자생종과 구분없이 융화 되어 자라는 식물로(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내륙습지보호지역 중 가장 귀화율이 높은 곳이 하천형 습지 낙동강하구로 23.2%로 알려진 바 있다(Cho., 2020). 습지보호지역의 유형 중 내륙습지보호지역 중에서 가장 귀화율이 높은 지역은 낙동강 하구로, 이 지역의 귀화율은 23.2%로 확인된다(Cho., 2020). 습지보호지역의 유형 중 하천형 습지 귀화율 범위가 11.2~23.2%, 도시화지수는 12.5~19.3%로 확인(Cho., 2020)되며, 본 조사지역에서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가 각각 26.00%, 19.64%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가화지역과 인접한 습지는 귀화식물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는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Cho., 2020).

귀화식물이 주로 분포하는 곳은 습지보호지역의 경계지역, 탐방로 주변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귀화식물의 확산을 방지 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Fig 3).

3.1.6 생태계교란식물

본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식물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환삼덩굴 등 11분류군으로 확인하였다(Table 6, Fig 3).

Table 6. The list of lnvasive Alien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6.png 이미지

* 2023년 new survey

환삼덩굴은 습지 전역에서 관찰되었고,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돼지풀은 수로 좌우 탐방로 부근과 중・하류지역에서 면적이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쑥부쟁이와 가시상추은 하류지역에 면적이 확대되고 있다. 도깨비가지는 철도길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산생하였으며, 서양등골나물, 서양금혼초, 애기수영은 화포천습지생태공원 둑방길을 따라 소군락으로 분포하고 있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다수의 종자생산, 높은 발아율, 빠른 초기 생장성 등의 특징을 가지므로 방제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생태계 교란식물이 습지보호지역 내 또는 인접지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별 생육특성에 따른 방제시기 및 방법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습지 전역에서 관찰된 환삼덩굴은 포복형, 등반형 등 다양한 형태로 생육하였으며, 일부는 갈대와 같은 장경초본군락과도 경쟁상태에 있는 등 강한 세력권을 보여 습지환경과 경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습지식생의 회복과 유지를 위해서 환삼덩굴의 우선적인 제거가 필요하다(Lee & myeong, 2015). 또한 습지전반의 생태계를 건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환삼덩굴을 포함하여 생태계교란종의 적극적인 제거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제거방법은 영양기관, 생식기관의 제거를 통해 이루어지며 집중제거 기간의 경우 단풍잎돼지풀과 가시상추는 4~6월, 돼지풀은 4~7월, 미국쑥부쟁이, 가시박, 서양등골나물은 4~8월, 환삼덩굴은 7~9월, 애기수영, 도깨비가지는 5~9월이다. 종별 제거 기간은 차이가 있지만, 초기 생육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집중 관리 기간을 지정 운영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1.7 습지식물

본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습지식물은 32과 51속 70종으로, 총 70분류군으로 확인하였다(Table 7). 이것은 우리나라 전체 습지식물의 약 10.4%에 해당된다(Jung, et., 2020).

Table 7. The list of wetland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7.png 이미지

습지식물은 습지환경의 특성을 잘 반영하며, 습지생태계를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습지식물은 미나리, 개발나물, 애기골무꽃 등 7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습지식물은 수생형태에 따라,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식식물,습생식물로 구분된다. 이중 습생식물을 제외한 정수, 부엽, 부유, 침식식물을 수생식물이라 구분한다. 조사지역에서 정수식물은 여뀌바늘, 사마귀풀 등 16분류군(22.9%), 침수식물은 붕어마름, 나사말 등 3분류군(4.3%), 부유식물은 생이가래, 좀개구리밥 등 4분류균(5.7%) 부엽식물은 마름, 노랑어리연꽃 등 6분류군(8.6%), 습생식물은 나도미꾸리낚시, 고마리, 개구리자리 등 41분류군(58.6%)으로 확인되었다(Table 8).

Table 8. The list of hydrophytes plants in Hwapocheon wetland

HKSJBV_2024_v26n1_92_t0008.png 이미지

본 조사지역에서 다양한 생육형태를 가진 수생식물 중 정수식물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 이유는 화포천습지는 배후습지로 유속이 느려지는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퇴적물들이 침체되어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정수식물이 다른 식물보다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수생식물은 습지의 토양을 안정화시키고 침식을 방지하며, 수중 부유물질의 침전과 촉진, 영양염류와 유해물질의 흡수, 생물들의 먹이원, 서식처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Yoon, et., 2002). 이에 습지생태계를 유지, 관리하는데 수생식물 보전은 습지 보전과 직결된다고 판단된다.

4. 결론

본 연구는 김해화포천습지보호지역의 전문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관속식물상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으며, 2021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66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상의 분류군 현황은 81과 221속 315종 9아종 12변종 2품종 등의 총 339분류군이며, 양치식물은 3과 3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은 63과 272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3과 6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출현 분류군 중에서 벼과와 국화과가 가장 많았는데, 습지 특성상 광조건이 좋고, 개활지이기 때문에 이들 분류군의 출현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희귀식물은 약관심종(LC)인 쥐방울덩굴, 자라풀, 낙지다리, 창포, 꽃창포 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쥐방울덩굴은 습지가장자리, 자라풀은 습지 내 정수역에서 생육하였으며, 낙지다리는 하류지역 습지 경계부에 소군락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창포, 꽃창포는 수로 좌안 탐방로 부근 소류지에 식재 분포하였다. 생태적으로 중요한 희귀식물에 대해 큰 위협요인은 없었으나, 낙지다리는 예초, 잦은 범람으로 인해 교란과 간섭이 발생된 상태였다. 위기종(EN)인 왕자귀 나무는 생태공원 조성되면서 식재된 자귀나무군락에서 1개체가 확인되었고, 취약종(VU)인 통발은 상류지역 습지내부에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서양등골나물,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양미역취 11분류군이며, 환삼덩굴을 제외하고 침입외래식물에 해당되었다. 양미역취는 2023년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습지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은 16분류군, 침수식물은 3분류군, 부유식물은 4분류군, 부엽식물은 6분류군, 습생식물은 41분류군으로, 습생식물을 제외한 수생식물을 정리하면, 총 29분류군이었다.

김해화포천습지의 식물상변화는 습지보호지역 수립 전 조사와 비교하여 9과 29속 69종 1품종 등 47분류군이 증가하였다(You et., 2017).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은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귀화식물은 12분류군이 증가하였고, 생태교란식물도 5분류군이 증가하였다. 특이할점은 생태교란식물의 분류군 증가와 분포면적 확대로 생태교란식물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포천습지보호지역 일대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낙지다리와 같은 희귀식물의 보전구역을 지정하여 예초등으로 인해 훼손되지 않는 방법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것으로 요구된다.

또한, 습지 고유식생을 변형시킬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과 생태계교란종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 물리적 제거 등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수생식물은 습지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는 핵심종이면서 지표종이기 때문에(You & Kim, 2021), 생태적 가치가 높은 식물과 동일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화포천습지보호지역은 화포천습지생태공원이 조성이 되어 있어, 습지보호지역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의 균형을 맞추어 해당 지자체의 습지관리효율화, 생물다양성 증진등 관리 대책을 마련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및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습지생태계 변화양상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될 것으로 기대된다.

Appendix

References

  1. Cho, K.J, Lim, J.C, Lee, C.S and Chu, Y.S. (2021).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of Willow Forest in the Wetland Protection Areas of Inland Wetland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3, No. 3, August 2021, pp. 201-212.
  2. Cho, K.J, Lim, J.C, Lee, C.S, Yoon, J.D, Kim, M.J, and Chu, Y.S (2020),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Wetland Protection Areas of Inland Wetland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7(4) 2020. pp.374-387.
  3. Choung, Y.S, Hyun, J.O, Min B.M, Na, H.R, Lee, K.S, Oh, H.K, Cho, K.H, Nam.G.H, Joo, K.Y, Kim, J.S. (2020), "Categorized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s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5 no.1(2021). pp. 72-77
  4.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Korean J. Pl. Taxon.47(3): pp. 264-288. https://doi.org/10.11110/kjpt.2017.47.3.264
  5. Hwang, Y.J. Distribution of Vibrant Plants and Exotic Plants in Haman-gun Wetlands A Study on Inflow ; Daepyeong Wetland, Jilnal Wetland, Seokgyocheon Wetland.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 11-36.
  6. Jo, M. J."A Study on the Value Evaluation of Wetland Ecosystem Service Focusing on Hengshui Lake in Hebei Province, China." Woosuk Unkversity. pp. 4-22 (2023).
  7. Kang, E.S, Lee, S.H, Oh, S.H, Kim, D.K, Jung, S.Y and Son, D.C.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 pp. 89-119 https://doi.org/10.11110/kjpt.2020.50.2.89
  8. Kang, H.M, A Study on the Change of Wetland Landscape in Hwapocheon Bas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p. 1-10. 2016.
  9. Kim, H.W, Sun, E.M, Lee, K.H, Lee, J.S, Park, B.K, Chol, T.Y and Lee, S.R. (2020). "Floristic study of Hwangmaesan Mt." Korean J. Pl. Taxon. 50(2): pp. 199-226. https://doi.org/10.11110/kjpt.2020.50.2.199
  10. Lee, G,S, Moon, H.S, Kim, T.W and Lee, J.S. (2022)"Vascular Plants including Those found in the Yongchu Valley of Jeongbyeongsan in Changwon-City." The Journal of Korean lsland Vol.34 No.1 (2022.04) pp. 195-215.
  11. Lee, I. W. and Kim, K. D. (2021). "A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in Gudam Wetland."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3, No. 2, May 2021, pp. 133-143. https://doi.org/10.17663/JWR.2021.23.2.133
  12. Lee, J. W."A study on the Vascular Plants of Baekdudaegan conservation area." Kunsan National University. pp.12-159 (2021).
  13. Lee, J.W, An, J.B, Hwang, T.Y, and Yun, H.G. (2022).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Wetlands Types and Inventory Establishment in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4, No. 1, February 2022, pp. 1-24. https://doi.org/10.17663/JWR.2022.24.1.1
  14. Lee, J.W, Yun, H.G, Kang, Y.S and An, J.B. (2022).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plan of Vascular Plants in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Jeonnam Area." 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4, No. 4, November 2022, pp. 224-255.
  15. Lee, S.H. and Youn, S.Z. (2022). "Mechanism of Wetland Formation according to Interaction of River Bed Fluctuation and Plant Success in the Hangang River Estuar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4, No. 4, November 2022, pp. 320-330.
  16. Lim, J.C, Cho, G.C, Yoon, J.D, Chu, Y,S and KIm, M.J. (2020) "3r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2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pp.893-1031.
  17. Nam, K. j. and Kim, M. J (2022) "Comparison of sampling methods in biodiversity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living in a riparian park area of Nakdong rive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4, No. 4, November 2022, pp. 312-319.
  18. Park, K. H. "Plant Characteristics of Jangnok Wetland Conservation Area." Mokpo National University. pp.5-17 (2022).
  19. Seo, J.Y, Park, K.H and You, J. H. (2012) "Vascular Plants around Seomjin River Estuary in Hadong-gun, Gyeongsangnam-do."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2; 16(2). pp.35-49.
  20. Song, I.G and Park, S. J (2013). "Flora of Gonggeom-ji Wetlands Protection Area (Sangju-si, Gyeongsangbukdo)."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5, No. 2, pp. 203-214. https://doi.org/10.17663/JWR.2013.15.2.203
  21. Song. S.S, Study on Terrestrial Insect Fauna and Diversity of the Hwapocheon Wetland in Gimhae c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 1-7. 2017.
  22. Yi, M.H, Yoo, S.T, Kim, B.D, Yoon, J.W, An, J.B, and Kwon, H.Y. (2023). "The Vascular Plants of Forested Wetland in Daegu-Gyeongbuk, Korea ;cused on Daegu, Cheongdo, Gyeongju and Pohang, Korean "J. Plant Res 2023. pp.32-61
  23. You, J.H, Kim, Y.H and Deng Bei Jia (2016) "Naturalized Plants of Yokjido Island, Tongyeong-si, Gyeongsangnam-do." Korean J. Pl. Taxon. 2016;46(1). pp. 83-116. https://doi.org/10.11110/kjpt.2016.46.1.83
  24. You, J.H, Park, K.H, and Lee, W.S. (2017).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Gimhae, Gyeongnam." J. Korean Env. Res. Tech. 20(2), pp. 61-77.
  25. Yoo, S.T and Yi, M.H. (2023). "The Change and Factor of Vascular Plants in Outstanding Forest Wetland in Daegu-Gyeongbuk,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57(3), pp. 39-51.
  26. Yu, H.Y, Ho, C.I, Lee. M.H, Kim, J.H, Shin, H.S and Kim, J.G. Status of Plant Species and Plant Community by Types of Inland Wetlands in Korea. 2022.
  27. Zhin, K.L. Studies on the Plant Distribution in Wetlands andthe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 of Hydrophytesin Jeju City Area. Graduate School Jeju National University. pp.2-30.